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집단 지성 vs. 집단 어리석음(Collective Intelligence vs. Collective Stupidity) – 다수가 모이면 더 똑똑해질까, 아니면 더 어리석어질까?
    덜 알려진 새로운 심리학 개념 & 연구 관련 주제에 대해서 적습니다 2025. 3. 26. 17:31

    집단 지성 vs. 집단 어리석음(Collective Intelligence vs. Collective Stupidity) – 다수가 모이면 더 똑똑해질까, 아니면 더 어리석어질까?

     

    목차

    우리는 흔히 "많은 사람이 함께 생각하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말을 합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투표를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기업에서는 팀워크를 강조하며, 인터넷에서는 집단의 힘을 활용해 정보를 공유합니다.

     

    이러한 믿음은 "집단 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되며, 다수가 협력할 때 개개인보다 더 나은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주장에 기반을 둡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집단이 항상 현명한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었습니다.

     

    때로는 많은 사람이 모이면 오히려 비이성적인 선택을 하거나, 선동에 휘둘려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기도 합니다. 이를 "집단 어리석음(Collective Stupidity)"이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집단이 언제 지성적으로 작동하고, 언제 어리석게 행동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집단의 의사결정이 어리석으므로 변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집단 지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왜 때때로 집단이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지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집단 지성  다수가 함께하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집단 지성이라는 개념은 한 개인보다 여러 사람이 협력할 때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합니다. 이는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입증된 개념인데요. 심리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제임스 서로위키(James Surowiecki)는 그의 저서 《대중의 지혜(The Wisdom of Crowds)》에서 다양한 실험과 사례를 바탕으로 집단 지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한 가지 흥미로운 실험을 소개했습니다. 한 박람회에서 한 마리의 황소의 무게를 맞히는 대회가 열렸는데, 각 참가자는 개별적으로 추측한 무게를 종이에 적어 제출했습니다. 놀랍게도 개개인의 답변은 상당히 들쑥날쑥했지만, 모든 답변의 평균을 내자 황소의 실제 무게와 거의 일치하는 값이 나왔던 것입니다.

     

    이는 개별적으로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라도, 많은 사람이 참여하면 전체적으로는 매우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와 비슷한 원리는 현대의 여러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 검색 엔진은 수많은 사용자의 검색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식 시장은 다양한 투자자들의 판단이 모여 시장 가격을 결정합니다.

     

    또한, 위키피디아 같은 온라인 백과사전은 특정 전문가가 아닌 불특정 다수의 기여를 통해 운영되지만, 그 정확성이 기존 백과사전과 비교할 만큼 높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집단이 올바르게 구성되었을 때 개인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은데요. 때때로 집단은 오히려 어리석은 결정을 내리거나, 심지어 파괴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집단 어리석음  왜 많은 사람이 모이면 오히려 비이성적인 결정을 내릴까?

    집단이 항상 지성적으로 작동하는 것은 아닌데요. 때로는 다수가 모일수록 오히려 비이성적인 판단을 내리게 되는데, 이는 여러 심리학적 요인에 의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원인은 "집단사고(Groupthink)" 현상입니다. 이는 심리학자 어빙 제니스(Irving Janis)가 정의한 개념으로, 집단 내에서 만장일치에 대한 압력이 커질 때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조직이나 팀이 강한 결속력을 가질수록, 개별 구성원들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기가 어려워지고, 결국 비판적인 사고가 사라지면서 잘못된 결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역사적으로도 이러한 사례는 많은데요. 예를 들어, 1961년 미국의 "피그스 만 침공(Pigs Bay Invasion)" 작전은 정부 내부에서 반대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지 못한 결과로 실패했었습니다. 또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는 대형 은행들이 집단으로 위험한 대출을 승인하면서 발생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원인은 "동조 현상(Conformity)"입니. 솔로몬 애쉬(Solomon Asch)의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분명히 틀린 답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사람들이 같은 답을 내놓으면 그에 맞춰 틀린 답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는데요.

     

    이는 사람들이 집단 내에서 고립되거나 소외되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스스로 판단을 포기하고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인터넷 커뮤니티나 SNS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 특정한 의견이 다수의 지지를 받을 경우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들은 자기 생각을 드러내기 어려워지게 되는 것입니다.

     

    세 번째 원인은 "집단 극화(Group Polarization)"입니. 이는 집단 내에서 비슷한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의 의견을 강화하면서 점점 더 극단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요. 예를 들어, 정치적 성향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 토론하면, 오히려 더 강경한 입장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이는 알고리즘이 사용자의 선호에 맞춰 정보를 제공하는 SNS 환경에서도 강하게 나타나며,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집단이 항상 지성적으로 작동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조건에서는 오히려 비이성적이고 위험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집단 지성 vs. 집단 어리석음(Collective Intelligence vs. Collective Stupidity) – 다수가 모이면 더 똑똑해질까, 아니면 더 어리석어질까?
    집단 지성 vs. 집단 어리석음(Collective Intelligence vs. Collective Stupidity) – 다수가 모이면 더 똑똑해질까, 아니면 더 어리석어질까?

     

    집단이 지성을 유지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그렇다면 집단이 어리석음에 빠지지 않고 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다양성(Diversity)"입니. 연구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집단일수록 더 나은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커집니다.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면, 특정한 편향이 강화되는 것을 막고, 보다 균형 잡힌 판단을 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입니.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집단 내에서 구성원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을 때, 더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기업이나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이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도 불이익을 받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 번째는 "검증과 피드백"입니. 집단이 내린 결정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지속해서 데이터를 검토하며 피드백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집단은 언제든 지성이 될 수도, 어리석음이 될 수도 있다.

    집단이 항상 똑똑하거나, 항상 어리석은 것은 아닌데요. 올바르게 구성된 집단은 개개인의 능력을 뛰어넘는 뛰어난 결정을 내릴 수 있지만, 잘못된 방식으로 운영될 경우 비이성적인 행동을 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집단이 어떤 조건에서 작동하는가입니다. 다양성과 개방성을 갖춘 집단은 지성적인 결정을 내리지만, 동조 압력이 강하고 비판이 억압되는 환경에서는 오히려 어리석은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속한 집단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지속해서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Designed by Tistory.